전체 글37 공부 링크 정리 비관적 락, 낙관적 락 https://unluckyjung.github.io/db/2022/03/07/Optimistic-vs-Pessimistic-Lock/ 2024. 3. 22. 3주차 정리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3주차는 프로젝트 나머지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너무 바빠 그동안 미뤘던 JAVA, Spring 개념 공부를 좀 더 하려고 한다. JAVA JVM 운영체제 종속받지 않고 자바를 실행시켜주는 가상 컴퓨터 이전에 C 개발 했을 때 윈도우랑 리눅스 돌아가는거 따로 구현함 Java compiler .java(고수준언어 - 사람이 읽는 언어) -> .class(저수준언어) 로 변환시켜주는 프로그램 JDK설치했을때 bin 안에 javac.exe 파일 .class는 기계어는 아님(바이트코드) 그래서 JVM이 기계어로 읽을 수 있도록 해석해줌 바이트 코드는 다시 실시간 번역기 또는 JIT 컴파일러에 의해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 GC 가비지 컬렉션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를 JVM의 가비지 컬렉터가 불필요한 메모리를 알아.. 2024. 3. 9. 테스트 프로그램 구현 제안 회고 개요 쇼핑몰 개발 및 유지보수 담당 업무를 하고 있는 와중에 너무 잦은 유지보수와 배포 이후 오류로 인해 지쳐가던 중 이전부터 TDD, 클린 코드 with Java 15기 (NextStep)를 듣게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을 들으며 내가 담당한 구조에 적용해보고 싶어 본부장님께 제안을 드렸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본부장님과 나의 의견이 어느정도 달랐지만 나의 제안과 테스트 코드 적용을 맘에 들어하셔 포상 휴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 프로그램 구현 제안서 아래는 제가 올린 제안 보고서를 가져왔습니다. 현재 쇼핑몰 로직은 계층형 아키텍쳐입니다. 계층형 아키텍쳐는 보통 비즈니스 로직이 서비스 객체에 뭉쳐있습니다. 목표를 원하는 것이 있고 그에 대한 로직들을 구현하게 됩니다. 쇼핑몰 로직을 예시로 들면 주.. 2024. 3. 6. 2주차 정리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2주차 발자국 이번 주 공부한 내용 정리 설명은 다른 글을 그대로 옮겨쓰는 것 같아 참조로 대체 트랜잭션 트랜잭션에 대한 개념은 알고 스프링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간단하게 배웠다 @Trantional 어노테이션 공부 참조 https://imiyoungman.tistory.com/9 AOP 통해 구현되어있다는 점도 배웠다 플로우는 추후 좀 더 깊게 파 볼 예정이다 영속성 컨텍스트 설명은 다른 글 참조 https://ittrue.tistory.com/254 결국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JPA전문성의 큰 기준이 될 것 같다 경력 연차가 쌓였을 때 면접으로 물어볼 만한 것이 아주 많다고 느껴 이 부분에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해보인다 이 후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따로 게시글을 올.. 2024. 3. 3. 스프링 graphql DTO에 값이 제대로 들어오지 않을 때 해결법 스프링부트, graphql을 사용하는데 DTO를 만들어서 값을 넣어주려고했다. 근데 값이 전부 null로 들어와서 해결하게 된 과정을 적는다. mutation & DTO 정의 mutation dto graphql 요청 입력된 데이터 전부 null (디버깅) 해결 왜 안들어 오는지 한참 찾았는데.... 결국 문제는 DTO에 setter가 없어서 나오는 문제였다.... 나는 요즘 객체들을 생성자로 넣고 setter를 사용하지 않는 추세로 안넣었지만 그게 문제가 되었다... setter를 정의하고 난 후 결과 이유를 좀 더 파악해봐야 겠지만 graphql은 넣어줄 때 set을 통해 넣어주는 것 같다... 한국어로 설명해 준 글이 없어 나같은 사람이 없길 바라며 작성한다 2024. 2. 25. 1주차 강의&미션 정리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개요 회사에서 자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이직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았다. 이 기회에 스프링을 제대로 배우고자 신청하게 되었다. 1주차 강의 수강 1주차 강의는 많이 듣고 봐왔던 것도 있지만, 구체적은 개념은 잘 몰라 어느정도 찾아보면서 배운게 많았다. 당연히 아직 배울게 많지만 이번에 특히 어노테이션에 대해서는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다. 미션 과제 구현은 사실상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 컨트롤러에서 모든 걸 해내는 정도라 크게 어려운 건 없었다. 클린코드는 범위를 어디까지 할 지 고민이었지만 하드코딩에 대한 소스 수정만 했다 (시간도 없고 너무 많은 고민을 하기엔 할게 너무 많아서... 핑계인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할 때 많은 개념을 얻을 수 있었다. 1일차 -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 2024. 2. 24. 이전 1 2 3 4 5 6 7 다음